교육일정
교육기간 | 접수기간 | 예약현황 / 정원 | 진행상태 |
---|---|---|---|
09.24 ~ 09.24 일 (10:00~17:00) |
09.16 13:00 ~ 09.20 14:00 | 0 / 20 | 접수마감 |
교육내용
구미과학관 생활과학교실
『중점과학교실_요즘 날씨가 왜 이래?』
운영 및 신청 안내
◇ 챗GPT를 활용한 SDGs 문제인 기후변화 문제해결 방안 탐색
◇ 조별 문제해결을 위한 토론과 다양한 실험을 활용한 탐구를 통해 문제해결 방안을 표현하고 발표하는 프로젝트 형 프로그램
◇ 영남권역내 다양한 생활과학교실 운영센터들과 함께하는 집합형 캠프
◈ 운영 개요
◈ 참가신청
◯ 교육 예약하기 버튼으로 신청 (9/16(토) 13:00 부터 신청 가능)
◯ 예약 인원은 참여하는 학생 수 만큼만 적어주세요
◯ 예약자 이름은 참여하는 학생 이름을 모두 적어주세요(예: 홍길동, 홍길은, 홍길금)
◈ 전체 일정 및 프로그램 안내
◈ 참여 기관별 프로젝트 실행(실험) 프로그램
※ 프로그램의 세부내용은 변경 될 수도 있습니다.
※ 문 의 : 구미과학관 (476-6809, www.gumisc.or.kr)
※ 생활과학교실 신청 및 취소 안내 ※
1. 수업 참석이 확실한 경우에만 신청 바랍니다.
2. 연락 없이 불참 시 다음 생활과학교실 행사에 제한이 있게 됩니다.
⦁ 주 관 : 구미과학관
⦁ 후 원 : 한국과학창의재단, 구미시, 복권위원회
『중점과학교실_요즘 날씨가 왜 이래?』
운영 및 신청 안내
◇ 챗GPT를 활용한 SDGs 문제인 기후변화 문제해결 방안 탐색
◇ 조별 문제해결을 위한 토론과 다양한 실험을 활용한 탐구를 통해 문제해결 방안을 표현하고 발표하는 프로젝트 형 프로그램
◇ 영남권역내 다양한 생활과학교실 운영센터들과 함께하는 집합형 캠프
◈ 운영 개요
대 상 | 초등학교 4학년 ~ 중학교 2학년 | 모집인원 | 20명 | ||
체 험 비 | 무료 | ||||
장 소 | 울산대학교 | ||||
운영일정 | 9월 24일(일) 10:00 ~ 17:00 | ||||
집합시간 | 9월 24일(일) 08:00 ※ 구미과학관 집합 후 단체 이동 |
집합장소 | 구미과학관 |
◈ 참가신청
◯ 교육 예약하기 버튼으로 신청 (9/16(토) 13:00 부터 신청 가능)
◯ 예약 인원은 참여하는 학생 수 만큼만 적어주세요
◯ 예약자 이름은 참여하는 학생 이름을 모두 적어주세요(예: 홍길동, 홍길은, 홍길금)
◈ 전체 일정 및 프로그램 안내
시 간 | 프로그램 내용 | 비고 | ||
1일차 | 09:50~10:00 | 10‘ | 등 록 | -장소: 울산대학교 산학협동관 1층 국제회의실 -전체 진행 : 동남권과학창의진흥센터 |
10:00~10:30 | 30’ | 이론 강의 : 기후변화란 무엇인가 | ||
10:30~12:00 | 90’ | 체험 : 챗GPT를 활용한 문제해결 | ||
12:00~13:00 | 60’ | 점 심(도시락) | -진행 : 영남권역 생활과학교실협의회 |
|
13:00~14:00 | 60’ | 팀별 토론 : 기후변화를 막을수 있을까? | ||
14:00~14:20 | 20’ | 휴 식 | ||
14:20~15:50 | 90’ | 실험 : 기후변화를 막을 수 있는 장치 개발하기 | ||
15:50~17:00 | 70’ | 발표 : 팀별 작품 발표하기 |
◈ 참여 기관별 프로젝트 실행(실험) 프로그램
연번 | 기관명 | 중점교실 프로그램 |
1 | 구미과학관 | 수소로 만드는 탄소제로 전기 |
2 | 대구경북여성과학기술인회 | 뽀글뽀글 지구 배쓰밤 |
3 | 부산과학기술협의회 | 지구를 지키는 똑똑한 집 |
4 | 울산대학교 | 별이 빛나는 스칸디아모스 정원 |
5 | 인제대학교 | 스마트팜(수경재배) |
6 | 창원대학교 | 지구멸망빙고 |
7 | 포항공과대학교 | 친환경 전기자동차 충전소 |
8 | 한국실크연구원 | 내손으로 만드는 전기 |
※ 문 의 : 구미과학관 (476-6809, www.gumisc.or.kr)
※ 생활과학교실 신청 및 취소 안내 ※
1. 수업 참석이 확실한 경우에만 신청 바랍니다.
2. 연락 없이 불참 시 다음 생활과학교실 행사에 제한이 있게 됩니다.
⦁ 주 관 : 구미과학관
⦁ 후 원 : 한국과학창의재단, 구미시, 복권위원회